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엇이든 물어보살] 동생 셋을 돌본 딸, 이제는 자신을 돌보기로 한 한 여성의 이야기

by 별별영화 2025. 6. 16.
반응형

🌿 “내 삶은 어디에 있을까?”

동생 셋을 돌본 딸, 이제는 자신을 돌보기로 한 한 여성의 이야기

엄마와 장애가 있는 남동생을 세 명이나 돌보던 사연자... 시설 얘기 했다가 엄마가 연락을 끊으셨어요😢

 

동생 셋을 돌본 딸, 이제는 자신을 돌보기로 한 한 여성의 이야기

 

👧 ‘8살 엄마’의 삶이 시작되다

"어릴 적부터 제 삶은 없었어요. 늘 누군가를 돌보는 사람이었죠."

이신선 님은 올해 30살입니다. 하지만 인생의 반 이상을 “딸”이 아니라 “엄마”처럼 살아야 했습니다. 세 명의 동생은 모두 자폐 또는 발달 장애를 앓고 있고, 그중 막내는 지금도 스스로 대소변조차 가리지 못합니다.

그녀가 단 한 번도 잊은 적 없는 장면. 아버지의 가정폭력, 고아원 이별, 엄마의 눈물어린 재회. 이 후 태어난 두 명의 동생.

그렇게 신선 님의 인생은 ‘보호자’로 시작된 것입니다.

 

💔 희생이 일상이 된 청춘

"20대도, 내 삶은 없었어요. 생계와 돌봄만 있었죠."

스무 살, 보통의 청춘은 대학, 친구, 연애, 꿈으로 채워지지만 신선 님은 아르바이트로 동생 셋을 먹이고 입혔습니다. 병원 예약, 특수학교 등원, 식사 준비까지 모두 그녀의 몫이었습니다.

그녀는 말합니다.
“6살 때부터 자살을 생각했어요. 지금까지도 그 생각이 머리를 떠나질 않아요.”

그녀는 누구보다 조숙했고, 누구보다 혼자였습니다.

💍 결혼, 그리고 또 다른 죄책감

올해 3월, 그녀는 결혼했습니다. 하지만 가족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아이들을 시설에 보내자”는 말 한마디에 엄마는 연락을 끊었습니다.

엄마는 ‘엄마이기 때문에’ 아이들을 지키고 싶고,
딸은 ‘딸이기 때문에’ 이제라도 자신을 지키고 싶습니다.

이 결심은 이기심이 아니라, 오히려 그동안 너무 많이 희생한 이의 절박한 외침입니다.

🧠 우리가 들어야 할 메시지

가족을 지킨다는 건 반드시 옆에 있어야만 가능한 게 아닙니다.

신선 님의 선택은 자신을 위한 선택이자, 결국 모두를 위한 용기였습니다.

"그동안 충분히 했어요. 이제 제 삶을 살겠습니다."

이 말은 단순한 선언이 아닙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진심입니다.

💡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원 제도 안내

누구나 이신선 님과 같은 상황에 놓일 수 있습니다. 그럴 땐 국가와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다음 자원을 확인해보세요.

 

📋 돌봄 가족을 위한 공적 자원 요약

🏥 장애인 거주시설: 발달장애인, 중증장애인 입소 가능 (전국 시설)
💬 가족상담센터: 돌봄 스트레스 및 정서 상담 지원
💰 긴급복지지원제도: 위기 시 생계/의료/주거 등 지원
🧠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장애인 자립 교육 및 보호자 프로그램 운영

🌱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한 문장

가족을 지킨다는 건, 반드시 곁에 있는 것만이 아닙니다.

사랑은 때때로 건강한 거리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신선 님의 결심은 버림이 아닌, 모두를 위한 새로운 시작입니다.

✨ 다음에도 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공감과 위로를 전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